2주차 강의 소감
이번 주 강의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학교사회복지론의 외국 사례였어요.
특히 미국, 영국, 독일 등에서 학교사회복지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에 대해 들으면서, 각국의 문화와 사회적 환경에 따라 사회복지 실천이 어떻게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게 되어 유익했던것같습니다.
한국의 학교사회복지도 여명기에서 시작해 점차 발전해왔고, 제도화 과정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도 흥미로웠습니다.
1학기 첫 주 강의 내용 정리
📌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실천은 1601년 영국 엘리자베스 구빈법에서 시작, 19세기 영국·미국에서 전문화됨.
- 1900년대 초 사회복지 전문직 확립, 1950년대부터 진단주의, 기능주의로 분립.
- 1970년대 이후 사회복지 실천이 다양화되고 확장됨.
📌 사회복지정책론
- 사회복지정책의 기본 가치는 인간 존엄성, 생존권, 사회연대, 평등 등.
- 사회복지정책의 이념적 모형은 보충적, 제도적 개념, 케인주의, 신자유주의 등으로 변화.
- 사회정의는 가장 불리한 사람에게 최대 이익을 부여하는 것.
📌 사회복지학개론
- 사회복지의 가치는 자유, 평등, 분배의 정의로 구분되며,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가치는 요구 있는 사람에게 서비스 제공, 사회정의 증진 등.
📌 장애인복지론
- 장애인복지는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을 의미하며, 이념으로 인간의 존엄성, 자립, 사회통합 등이 있음.
- 장애인의 주요 원인은 후천적 질환이 많으며, 장애인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과 제도를 개선.
📌 지역사회복지론
- 지역사회복지 이론은 구조기능론, 갈등이론, 사회체계이론 등으로 다양.
- 영국은 빈곤의 사회적 원인으로 인식하며,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을 통해 사회개혁 강조.
📌 학교사회복지론
- 외국: 미국은 개인 적응을 강조, 영국은 의무교육과 관련된 법을 통해 학교사회복지 확대.
- 한국: 초기 복지와 교육이 결합, 학교사회복지관 설립 후 점차 확대, 법제화로 전문성 및 제도화 진행.

728x90
'똘레랑스 휴먼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학기 시작! 사회복지사와 건강가정사 5주차 강의 (0) | 2025.04.09 |
---|---|
1학기 시작! 사회복지사와 건강가정사 4주차 강의 + 쪽지시험! (3) | 2025.04.02 |
1학기 시작! 사회복지사와 건강가정사 3주차 강의 (4) | 2025.03.26 |
1학기 시작! 사회복지사와 건강가정사 강의 첫 주 (1) | 2025.03.11 |
새로운 목표, 사회복지사와 건강가정사로 가는 길 (0) | 2025.03.11 |